명목금리와 실질금리
명목금리는 예금이나 증권 등 금융자산의 액면 금액에 대한 금리이며, 실질금리는 명목금리 - 물가상승률 이다.
예를 들면, 명목금리가 10%인데 물가상승률이 20%라면 실질금리는 -10%가 된다.
명목금리(10%) - 물가상승률(20%) = 실질금리(-10%)
100만원을 저축한 사람의 명목소득(이자)은 10% 증가한 10만원이 되어 총액은 110만원이 되지만, 저축 기간동안 물가상승으로 100만원에 살 수 있던 물건 값이 20% 올라 120만원에 구매할 수밖에 없다면, 결국 저축으로 인해 10% (10만원)를 손해 본 것이다.
반면 대출했던 사람은 실질금리가 -10%이니 대출하고도 갚아야 하는 부채의 실질가치가 감소하는 이득을 얻게 된다.
이처럼 실질금리가 중요한 이유는, 명목금리로 금융거래(저축/대축)를 체결해도 물가상승률의 변화에 따라 실질금리(체감)가 다르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
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이면 돈의 흐름은 은행 예금이 아닌 금과 주식에 몰리나 타이밍이 중요함.
[참고 기사]
https://www.hankookilbo.com/News/Read/A2021122309220005921
주식도 부동산도, 투자할 때가 아니다
물가가 오른 만큼 금리가 오르지 못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(-)다. 가계 금융자산의 실질 가치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이다. 이런 시기에 자산 배분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? 지난 11월 미국 소비자
www.hankookilbo.com
2022.01.05 - [스터디] - 금리를 알면 돈의 흐름과 양을 알 수 있다. (2)
금리를 알면 돈의 흐름과 양을 알 수 있다. (2)
정책금리와 시장금리 정책금리는 중앙은행(한국은행)에서 정하는 기준금리이며, 시장금리는 정책금리를 제외한 모든 금리 중에서 콜금리, CD금리, CP금리, 회사채금리, 국고채금리(3년 만기 국고
ouvalue.tistory.com
2022.01.05 - [스터디] - 경기 종합지수를 알면 경기가 보인다.
경기 종합지수를 알면 경기가 보인다.
선행지수 순환변동치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경기종합지수란 경기 상황을 잘 반영하는 고용·생산·소비·투자·대외·금융 지표를 가공 및 종합해서 작성한 종합경기지표로서, 선행·동행·후행
ouvalue.tistory.com
'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년 인플레이션이 올 수밖에 없는 이유 (0) | 2022.01.19 |
---|---|
멜라토닌 음식 '7-day-healthy-challenge' (0) | 2022.01.08 |
경기 종합지수를 알면 경기가 보인다. (0) | 2022.01.05 |
금리를 알면 돈의 흐름과 양을 알 수 있다. (2) (0) | 2022.01.05 |
에센셜리즘(Essentialism) (0) | 2021.1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