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악력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 결과
[서울 아산병원]
악력이 낮은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회사생활이나 집안일, 공부 등 일상 활동에서 2배나 더 많은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.
[영국 글래스고 대학]
악력이 약한 이들의 사망 위험이 더 높았으며, 심장질환에 걸릴 위험, 호흡기 질환에 걸릴 위험,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 등도 높았다.
[연세대]
악력이 낮을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높고 악력이 셀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.
이는 악력을 높일수록 혈압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도 된다. 실제로 한 임상연구에 의하면, 1주일에 3일씩 약 10여 분간 악력 운동을 시킨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혈압이 크게 떨어졌다.
[일본 도호쿠대학과 니카다대학]
악력과 2형 당뇨병 발병에 대한 대규모 조사를 벌인 결과, 악력 값이 자기 체중의 절반밖에 되지 않을 만큼 약한 그룹은 자기 체중의 80%에 이르는 센 그룹에 비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56%나 높게 나타났다.
성인 남성의 평균 악력은 50㎏, 성인 여성은 평균 30㎏이다. 경찰공무원 등의 체력검사 시험에서 악력 항목의 만점 기준은 남자 61㎏ 이상, 여자 40㎏ 이상으로 평균보다 조금 높은 편이다. 일본 연구진이 자기 체중의 80%를 기준으로 삼았으니 남자의 경우 60㎏인 사람은 악력이 48㎏, 70㎏인 사람은 56㎏ 이상 되어야 당뇨병에서 그나마 안전한 셈이다.
[영국 및 호주 등 국제 연구팀]
악력이 센 사람일수록 문제 해결 능력과 기억력, 추론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.
[스위스 연구팀]
악력을 기르면 학생들의 학업 성적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증명해 보였다. 실험에 참가한 학생 중 절반에게 2주간 악력기 운동을 시킨 결과, 대조군으로 참여한 나머지 절반의 학생들에 비해 시험에서 더 좋은 성적을 얻었다.
악력을 기르는 방법
1. 움켜쥐기 : 악력기 등 활용
2.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 집기
3. 쥐고 버티기 : 철봉 매달리기, 아령 들고 버티기
4. 손가락이 떨어진 상태에서 쥐기 : 뚜껑 열기 등
5. 손목 펴기 : 아령 운동
올바른 자세 참고 -> https://sports.kaist.ac.kr/xe/53077
KAIST 스포츠 컴플렉스 - [운동] 악력을 키우는 운동법
sports.kaist.ac.kr
'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타버스의 중심에 게임이 있는 이유 (0) | 2022.01.25 |
---|---|
멜라토닌 부작용 (0) | 2022.01.23 |
OECD 경기선행지수로 보는 22년 경제 전망 (0) | 2022.01.22 |
미국 인플레이션 어떤 것이 가장 많이 올랐나? (0) | 2022.01.19 |
대형 화산 폭발의 영향은 무엇인가? (0) | 2022.01.19 |